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똑똑한 세금 정보14

분양권 양도, 분양권 증여 세금문제는? 이번 포스팅에서 다룰 내용은 분양권을 증여받거나 혹은 매매할 때 발생하는 세금입니다. 우선 국세청 상담사례를 통해서 분양권 양도 혹은 증여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국세청 상담 내역 - 분양권 양도 및 증여 상담 내용을 요약해보겠습니다. 아버지 명의로 분양을 받았고 이를 다시 아들 명의로 변경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세금 문제를 궁금해하는 내용입니다. 분양을 받았을 때 프리미엄 상당액은 5천만 원입니다. 국세청 답변은 우선 양도와 증여의 차이점부터 밝히고 있습니다. 양도와 증여의 차이는? '양도'란 자산의 유상 이전이며, '증여'란 자산의 무상이전이다. 분양권의 양도 및 증여재산가액은 양도일 및 증여일 현재의 기불입액(대출금 포함)과 프리미엄을 합한 가액이다. 위의 상담 내역을 증여세가 과세되는 경.. 2021. 8. 22.
부부간 증여, 그것이 알고싶다! 이전 포스팅에서는 미성년 자녀에 대한 증여 및 증여세 부과 유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부부간 증여에 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국세청 홈택스 상담내역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상담 내용 요약 우선 남편은 근로소득자이며, 아내는 전업주부입니다. 부부는 아파트를 제외한 대부분의 자산을 전업주부인 아내 명의로 운용을 해왔습니다. 이때 부부간 발생하는 재산 거래가 증여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이었습니다. 이에 대해서 국세청은 어떤 답변을 내놓았을까요?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증여의 정의 우선 국세청에서는 상속세 및 증여세법상 증여를 정의하였습니다. 증여란 그 행위 또는 거래의 명칭, 형식, 목적 등과 관계없이 직접 또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타인에게 무상으로 유형, 무형의 재산 .. 2021. 8. 22.
증여세, 미성년 자녀에 증여 후 주식으로 불린 돈은 세금이 부과가 될까? 미성년 자녀 증여와 관련해서 궁금하신 분들이 많을 거라 생각합니다. 국세청 홈택스 질의 및 응답을 통해 궁금하신 사항들을 알아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사례 확인에 앞서 증여에 관한 기본적인 개념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증여란? 증여란 증여자가 무상으로 재산을 상대방에게 준다는 의사를 표시하고, 수증자가 그것을 승낙함으로써 성립하는 계약을 말합니다. 수증자는 무상으로 재산을 양도 받음으로써 재산가치가 증가함에 따라 이에 대해 세금이 부과되는데, 이를 증여세라고 합니다. 다만, 증여하는 금액에 따라 증여세가 부과될 수도 있고 안될 수도 있습니다. 즉 수증자에 따라 증여재산공제가 되는 한도가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 주제와 관련이 있는 직계존속에 대한 증여재산공제 한도액은 5천만 원입니다. 다만, 미성.. 2021. 8. 22.
월세 세액공제 집주인 동의 필요할까? 월세 세액공제 조건 확인하기 우리는 다양한 주거형태로 지내고 있습니다 내 집 마련 또는 전세, 월세 등 그중에서 이번엔 월세로 거주하시는 분들이 꼭 알고 계셔야 할 부분!! 월세로 거주하시는 분들이 꼭 받으셔야 할, 받을 수 있는 월세 세액공제 조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월세 세액공제 조건 1. 총 급여 7,000만 원 이하 (종합소득금액은 6,000만 원 이하) 2. 12월 31일 기준 무주택 세대주여야 함 3. 기준 시가 3억 원 이하에 85㎡ 이하 (한 가지만 충족해도 가능) 기본적으로 전입신고는 된 상태여야 하며 무주택자 중 근로소득자, 성실사업자, 성실신고 확인대상자가 월세 세액공제 조건에 해당됩니다 우리나라 세법 중 '조세특례 제한법'에서 월세 세액공제에 대해 아래와 같이 규정합니다 제95조의 2 【월세액에 .. 2021. 3. 24.
반응형